KMP에서 TP파일을 최적으로 재생시켜 보자
내가 좋아하는 동영상의 고화질을 구할 수 없을까 라고 생각하던
일반인들은 드디어 사막에서 물찾듯이 TP란 것을 발견하였고...(발견발견하지만 결론적으론 HD수신카드 나올때부터 있었음)
1시간에 9GB에 달하는 용량을 감수하면서(3분당 400MB정도) 그 엄청난 화질을 보기위해 TP를 받는다...
뭐 일부 사람들은 avi 가 전부인줄 아는 사람도 있겠지만...(사실상 avi 도 코덱따지면 꽤 여러종류가 있다)
TP를 본사람들은 avi 화질을 못견딘다고 할정도로 TP화질은 정말 잔인하도록 좋다...
뭐 대충 비교하자면 요렇게 좋달까?(캡쳐의 차이)
여기서는 내가 TP파일을 소녀시대 무대영상 밖에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소녀시대 캡쳐로 비교해본다
정말 시골에서 막 상경한 코찔찔이도 비교할수 있는 수준이라고 해두자..
-avi-
보기에는 못느끼겠지만 아래와 비교해보면 훨씬 흐릿하고 안좋은 걸 느낄 수 있다..
-TP-
위아래로 차이해보자면 훨배 선명한 사진이다...
이래도 모르겠다면 한개를 더 보자
-avi-
마찬가지로 위와 동일하게 avi 파일인데 완벽하게 깨졌다;;; 사실상 이런 공연영상은 일시정지등을 할 시 자주자주 깨진다..
(TP는 안깨지는건 아니지만 그건 그냥 잔상이고 이건 영상의 픽셀 자체들이 깨져보이는 현상이다)
일단 화질 자체가 그다지 좋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avi 특성상 한계가 있기 때문...
맨 위쪽에 카메라를 가까히쯤 잡은것에서는 볼 수 없는 깨짐현상이다 그렇지?
-TP-
하지만 이렇게...
똑같은 장면인데도 TP는 확연히 차이가 날정도로 화질이 좋다;;; 특히 avi 와 TP 는 멀리서 볼때(카메라 시점이 멀때)
그 차이가 훨씬 많이 부각된다... avi 는 카메라를 멀게잡으면 얼굴이 다 깨져서 나온다... 공감하는 사람이 많을것이다
뭐 이런이유에서 사람들은 TP를 많이 보고 그래픽카드등이 좋아지면서 대다수가 TP를 관람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사실상 컴퓨터 사정상 저용량만 챙겨보던 나에게 컴퓨터를 바꾸고 TP를 보는건 환상적인 수준의 업그레이드다;;;
하지만!!!!!!!!
TP를 볼때마다 느끼지만 CPU를 기존의 avi 재생시보다 2배가량 더먹으면서
때때로는 좀 부득이하게 영상이 안좋게 나온다... 지원코덱등이 없거나 플레이어에서 영상을 지원안하기 때문....
바로 TP를 그냥 내장코덱등으로만 돌려버리면 Gom 플레이어 에서는 영상이 안나오고 소리만 나온다던가
뭐 컴퓨터 사양에 따라선... 뚝뚝 끊기는 현상이 나온다;;;
아얘 동영상과 소리가 맞지 않는다던가 말이다...
대다수는 그런 이유로 KMP를 많이 쓰고 있으나
그런데
일부 저사양 컴퓨터나 요즘 나오지 않은 HD가속이 없는 그래픽 드라이버라던지 몇몇 문제있는 컴퓨터라면...
심지어 CPU가 90% 대까지 올라갈때도 있고 사실상 KMP 필터를 사용하면 몇몇 경우는 약간씩 끊기거나 할때가 있다
그럴때 필요한게바로
외.부.코.덱
요런 그래픽 회사나 동영상 회사등에서 나온 외부코덱을 사용하면 CPU 점유율이나 화질의 선명등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이루어진다...
그래서! 본인은 KMP를 못하지만(영상관련된 일에는 바보수준) 하여튼 이것저것 따라하면서
적은 CPU 로 적절하게 TP를 보는 법을 알아낸거니...
사실상 화질의 변화는 아주 미세하게 차이가 날뿐 큰차이는 안난다고 여기서부터 설명하겠다...
보정을 받긴 하지만 그래도 엄청난 차이는 나지 않는다 원채 TP가 좋으니까
(외부코덱을 사용하면 화질이 좋아진다로 착각하는 사람도 꽤나 있는데 사실상 화질차이는 그다지 나지 않는다 하지만 일반사양의 컴퓨터의 경우 CPU점유율이나 그외 다른것만 줄여도 영상이 TV를 보듯이 자연스럽게 돌아간다)
그러나 내생각으로는 이것대로 따라하면
CPU점유율 줄이기, 영상의 자연스런 움직임등
일반적인 가정집의 컴퓨터라면 여러 방면에서 꽤나 성능이 향상된다..
물론! 한가지 아쉬운점은 KMP 필터를 사용하지 않기때문에 캡쳐가 불가능 하다는 점이다...(물론 소리도 5.1CH로 안나오기도..)
(캡쳐는 그냥 Print Screen 키로도 되니까 그걸로 하던지 해야한다)
TP란건 환경에 따라서 이래저래 화질차이가 엄청나게 나기 때문에(이래저래 고르게 나오는 avi와는 다르다)
사실상 고성능 디스플레이도 상당히 중요하긴 하지만 그건 대충 나~~ 중에 관심있는 분들이나 배우길 바라고...
(TP도 760p 과 1024p 인가가 따로 있다 ㅇㅇ 정확하게는 나도 잘 모르지만 높은 쪽이 더 화질이 좋다[용량은 엄청높지만])
뭐 이래저래서 그리하여...
대충 이 짓을 하고나면 뭐가 다른가? 라고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 이번엔 작업관리자의 성능표시를 보여주겠다
(사실상 캡쳐라는 현상으로는 체감이라는 엄청난것을 대신하기가 어렵다.. 게다가 영상은 일시정지시 화질이 떨어진다)
-설정전-
-설정후-
보다시피 여러가지를 좀 같이 쓰느라 46까지 올라갔지만 대략적으로 30~40정도로 CPU소모량이 든다
기존 TP 재생시 50~70까지 CPU를 먹는것과 확연히 다른차이다...
사실상 내가느끼기에는 KMP기본 필터사용시보다는 훨씬 부드럽게 느껴지고 화질이 선명하다는거겠다...
뭐 이 작업을 하면서 얻을수 있는 효과는 확실하게 말해서는
화질대비 적은 CPU점유율 이라고 해두고 싶다...
엄청나게 성능 좋으신 분들은 안해줘도 되는 작업이라고 해두어도 나야 할말없다;;;
사실 이런 외부코덱 작업은 KMP에 설정에 따른 좀 다른 CPU를 쥐어짜는? 하여튼 그런 개념의 작업이다...
사양이 좋다거나 아니면 일반 필터에 좀 불만사항이 있다, TP를 보면서도 avi 보는것처럼 다른 짓좀 수월하게 하고싶다 하는 사람은 따라해도 되겠지 ㅇㅇ
-무작정 따라하자-
뭐 그리하여 우선 항상 필요한 준비물이 있었다..
이래저라 참 깔것도 많다..
1.KMP 플레이어 - http://imgcdn.pandora.tv/pan_img/KMP/Download/kmp.exe
기반이 되는 프로그램이다.. 뭐 이거없으면 동영상 재생도 안될테니 받아야겠지?
2.TP 재생코덱 (KMP에서는 자체내장코덱으로 재생이 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Windows Media 에선 안돌릴거니까 제외)
3.NVIDIA PureVideo Decoder 코덱 다운로드 (지원가능 NVIDIA 6100 이상의 그래픽카드.. 5200도 된다고 하는데 모르겠다)
(*아직 다운받지 말 것!)
Part.1 - http://blog.empas.com/rlaxotmd4891/32172526
Part.2 - http://blog.empas.com/rlaxotmd4891/32172527
Part.3 - http://blog.empas.com/rlaxotmd4891/32172529
[NVIDIA 계열이 아닌 사람은 PowerDVD를 받아서 Cyberlink 코덱을 이용하길 바란다 자료는 7.3 이상이면 H.264까지 지원된다]
추천 - CyberLink PowerDVD Ultra Deluxe 7.3 Build 3319a [자료구하는건 파일구리 등에서 알아서 구하도록]
*여기서는 Cyberlink 계열의 설명이 없으므로 다른곳에서 정보를 구해보자*
4.CoreAVC 코덱 다운로드(*아직 다운받지 말 것!)
Ver - 1.8.0.0 - http://blog.empas.com/rlaxotmd4891/32172536
Keygen - http://blog.empas.com/rlaxotmd4891/32172539
[CoreAVC 코덱 출저 -종스비- 님 : http://blog.naver.com/jongsbee]
자 이제 시작해 볼까?
자 처음이라면 KMP로 TP를 실행시켜 보자
참 고화질로 잘빠져서 나온다 그렇즹?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할것은 자신의 컴퓨터가 아무것도 안썼을때 TP가 어떻게 나오냐 이말씀...
뭐 개인적으로 KMP가 하도 좋아서 내부 필터로 대충은 까주는데 여기서 중요한점은
[자신의 컴퓨터가 초고속모드를 쓰고 보고 있냐 이 말]
말하자면 여기서 KMP에 그냥 돌려서 보고있는건지 아니면 KMP의 기능인
'초고속모드' 를 설정해서 쓰고있는지 물어보고 싶다는 것!!! 그냥 해도 잘만 돌아간다면 따로 설정할 필요 없다...
그런데 왠만한 컴퓨터 아니면 초고속모드를 쓰는게 대다수이다... KMP 필터도 사용하지 않은채 말이다...
결국은 KMP의 기능은 사용하지 않고 오직 돌리는데에 목적이 있다는 것!!
(여기서 초고속모드를 사용하는 사람은 캡쳐도 물론 안된다. 내부필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
그리하여 이런 설정이 필요한 것이다.... 자 그럼 이제 순서대로 따라해볼까?
자 이제 저 위에있는 아직 받지 말라고 했던것을 순서대로 받아볼 차례다
NVIDIA PureVideo Decoder 을 받아주자
내가 무슨 컴맹강의도 아니니 여기서는 설치법따위는 안중에도 없다는걸 알아두장
대충 설치 exe 랑 키젠만 주면 어떤 바보라도 설치는 가능할거다..
[단! 설치시 이름 e-mail 을 다르게 하지 말아라 Keygen 과 똑같이!!]
뭐 그리하여 설치가 됬다면 이제 KMP에서 적용을 해야겠즤?
KMP 를 틀고 환경설정에 들어가자
그중에서 Splitter 필더 탭으로 가서 외부 코덱/필터 사용자 정의 를 눌러주자
(참고로 원래 처음켠 사람에게는 Splitter가 모두 KMP 내장 ~ 으로 되어있어야 정상이다)
들어가면 이와같은 목록이 보인다
(처음켠사람은 공간이 비어있어야 정상이다)
그 아래쪽에 시스템 코덱 추가를 눌러주고 이것을 찾아서 확인을 눌러주면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위에있는 NVIDIA Transport Demux 도 추가해주자)
그 후에 두개를 눌러보면서 옆에 체크되어있는게
NVIDIA Video Decoder 에서는 MPEG 2 Video 로
NVIDIA Transport Demux 에선 MPEG2(TS) Splitter 로 설정됬는지 확인을 해준다(체크가 안되어있으면 체크해줄 것!)
그리고 확인을 누르고 나와서
위쪽에 MPEG2(TS) Splitter 에는 NVIDIA Transport Demux 를 설정해주고
외부 비디오 코덱으로 들어가서 MPEG2 Video 탭에서 NVIDIA VIdeo Decoder 로 설정을 변경해 준다
(아래쪽 CoreAVC는 밑에서 설명)
자 이제 이것만으로 끝나면 시시하다...
한번 더 만져줘야 하는데 위쪽에 외부 코덱/필터 사용자 정의 에 들어가서
NVIDIA Video Decoder 이라고 써져있는것을 더블클릭 해준다
그럼 요런 설정이 뜬다.. 여기서 nView 지원에서 VMR7 로 설정해 주자.. 자신이 VMR9 를 쓴다면 9로 설정한다
(오버레이 사용시 영상이 뿌옇게 되는등 문제가 있으면 대다수가 VMR7/9 을 사용하므로 이렇게 설정한 것이다)
자 이렇게 됬다면 완벽하게 NVIDIA PureVideo Decoder 은 작동하는것을 볼 수 있다...
[CPU 차이를 확연히 느낄 수 있다]
이번엔 2번째로 CoreAVC 를 사용할 차례이다..
마찬가지로 CPU의 저하와 함께 색보정등의 기능을 하는 유용한 코덱이며
MPEG-2 가 아닌 H.264 의 기반으로 제작되어진 TP를 좋게 볼 수 있게하는 코덱이다...
물론 H.264는 DIVX에서 지원하는 자체 기술이 있지만 TP를 볼때에는 내장코덱과 비슷하므로... 이 코덱을 따로 써주자
위에 달아놓은 링크로 가서 설치를 한다(키젠도 있다)
만약 설치되어 있다면 1.8.0.0 으로 업데이트를 하기위해서 삭제후 설치를 한다..
(*Haali Media Splitter 도 설치해야 한다!)
단 한가지 설정해줘야 할 것은
여기서 아무것도 건드릴 필요는 없는데 Enable MPEG-TS support 에 체크가 되어있을 것이다
이걸 해제해 주고 Install 을 눌러준다
전체적인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아래쪽에 이와같이 설정을 해준다
Deinterlacing 에는 None 을 해준다 H.264 에서는 필요가 없는 기능이라고 한다
Input levels 은 그냥 PC로 해두었다 그다지 상관은 없다
Output levels 는 자신의 컴퓨터가 희뿌옇게 나오는 동영상 특성이라면(Overlay 사용시 뿌옇게 나오는 컴퓨터, 캡쳐시에는 정상으로 표현)
PC (0-255) 로 맞춰준다
계속 그렇다면 Haali Media Splitter 를 사용해도 되지만 나의 경우에는 TP가 느려진다... 그래서 사용안함 VMR7 사용
Preferred decoder 은 그냥 우선순위 설정이라고 보면 되므로 체크안해도 무관하지만 그냥 체크해주자...
그리하여 설치/설정이 완료되었으면 이제 H.264 를 설정하러 가야겠지?
아까와는 다르게 내장 비디오 코덱으로 가서
아래쪽에 있는
H.264 와 AVC1 을 체크 해제한다(이건 내장코덱으로 지원되는 것이기 때문에 내장코덱 지원을 없애기 위해 체크해제)
아까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시스템 코덱 추가를 하여 CoreAVC 를 넣어준다
[Core AVC의 경우는 오른쪽에 H.264 와 AVC1 이 체크된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H.264 와 AVC1 에 CoreAVC 로 설정해준다.
자 이제 외부코덱들의 설정은 마쳤다
이제 KMP의 기능중 내부필터 무조건 사용을 억제하고 영상을 좋게 나오게 하기 위한 마지막 방법이다
영상처리 탭으로 들어가 전에 NVIDIA 세팅때 VMR7로 했다면 위와같이 VMR7 을 설정, 9로했다면 9로 설정해준다
같은 탭에서 영상 처리 필터를 [아래의 조건이라면 사용하지 않음] 으로 선택해준다(이경우 필터가 실행되지 않는다)
출력 큐의 경우는 VMR7/9 사용자만 가능한데 영상의 끊어짐이 약간씩 발생한다며 체크해준다
(그러나 외부코덱의 경우 그런경우가 거의 없이 TV보듯이 나오지만 혹시모르면 체크한다 문제 발생시 체크해제)
기본 재생 설정으로 들어가서 초고속 모드로 설정해준다.
작업 우선권은 높음으로 해도되고 무관하다. 혹시 모르겠으면 높음으로 해두자
자 이제 KMP로 TP를 실행시켜보자..
뭐가 다른지 모르겠다면 그건 그다지 효과를 보지 못했다는거겠지만...
필자의 경우는 화면이 더 선명해지고 TV움직임처럼 좋아졌다;;;
저사양 컴퓨터라면 짝짝짝 치고 남았을 정도라는 사람도 있고 이 코덱을 사용하고 고용량 파일을 마음껏 감상한다는 사람도 있다..
어떻게 생각하던 자기 만족으로 보일지 모르겠지만;; 하여튼 차이점을 몸으로 체감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참고로 나의 경우는 화면 크기가 HDTV 크기 이외에는 변형이 안된다 이건 필터를 사용하지 않기때문일 것이다 당황하지 말 것]
화질의 차이가 크게납니다 라는 경우에는 그건 좀 이상한 말이다 쓰고 안쓰고의 차이는 TP의 움직임의 차이라고 보면 된다
-설정하지 않았을때의 화면-
-설정하고나서의 화면-
보다시피 화질의 변화는 그다지 없지만
선명도,움직임 등이 외부 코덱을 사용했을시 더 좋게 나타나므로 사용하는 것 뿐이다...
화질은 같은 동영상 파일이라면 랜더링 차이 이외에는 나지 않는다는걸 알아두고 ㅇㅇ
많이도 설명한다만 필자의 경우는 정말 움직임이 많이 향상되었다는걸 알려주고 싶다...(직접 못보여줘서 안타까울 따름)
뭐 하여튼 체감은 자신들이 하기 나름이고 이게 짜증난다 싶으면 딴걸 쓰면 되므로
자 오늘의 유용한 팁은 끝~~ 이다!!
-추가글-
혹시나 TP가 아니라 MKV를 재생할 경우에 알아두자
CoreAVC 는 사실상 MKV혹은 일부 TP파일을 재생할때 이용된다...(H.264 기반의 720p 짜리 영상등)
하지만 MKV 자체가 어떻게 보면 TP보다 약간더 컴퓨터 사양을 많이 잡아쳐먹는데;;;
결론적으로 우리집같은 경우는 MKV 720p 영상을 틀어버리면 화질은 좋지만 잠깐씩 끊기는 랙현상이 나온다...
이건 720p,1080i 로된 영상을 볼때 흔히 나오는 현상으로써
컴퓨터 사양이 딸리기 때문에 그렇다;;;
위에 설정대로 CoreAVC를 사용한다면 720p 까지는 어느정도 돌아가더라도 1028i 은 꿈도꾸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일부 좋은 컴퓨터를 가진 분들은 사실상 CoreAVC가 필요없다)
외부코덱이 좋아 사용하는 사람은 해당이 안되겠으나
720p 이 끊기면서 돌아가서 CoreAVC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다 라고 하시는분들은
원래 그런것이므로 자신의 컴퓨터 CPU와 그래픽카드를 탓하도록...
[MKV를 볼때 자주 일어난다 TP가 잘돌아가면 MKV를 포기하던지 끊겨도 그냥 보도록]
혹시 듀얼코어 CPU 라면 MKV 재생 시 출력 큐를 키면 나아지는 경우가 있다!!!
[출처] [유용한 팁]KMP에서 TP파일을 최적으로 재생시켜 보자|작성자 흑백탱율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초대장 5분께 드립니다 (21) | 2018.08.09 |
---|---|
DXVA체커로 동영상 가속 지원 여부를 간단하게 체크하고, DXVA로 동영상을 돌리자 (0) | 2009.08.30 |
H.264 MKV 부드럽게 보자 - CoreAVC 코덱 설정으로 x264 MKV AVI MOV 성능 향상 (0) | 2009.08.30 |
유튜브 동영상 고화질로 다운로드! 다운 주소 유추법 및 fmt 값 적용, 유튜브 동영상 저장 (0) | 2009.08.30 |
유튜브 좀 더 고화질로 감상하자! 영상을 퍼올 때에도 적용 가능 (0) | 2009.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