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파일명 때문에 안풀리는 압축파일을 풀어보자
고급 사용자 분들이 알집에 문제가 있다고 하시지만, 구하기 쉽고 편하다는 이유로 알집을 많이 쓰고 계십니다.
알집에서 RAR 파일이 풀리지 않거나, 혹은 유니코드 일본어로 된 파일명 때문에 압축해제가 되지 않는다면 Kipple님이 만는 zipj를 써보세요. ZIP, RAR, LZH 파일을 지원합니다.
※ 홈페이지 : Kipple::ZIPj
알집이 가끔 압축해체를 못하는 RAR 파일이 있습니다. 파일 목록은 제대로 읽는데, 압축 풀때 알집이 다운되더군요. RAR 파일이 잘못된 건가 싶어서 여러번 받아보고, 알집 최신 버전 업데이트를 해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검색해보니 알집이 특정 RAR은 못푼다더군요. 유니코드 일본어 파일명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면, 알집이 오류라고 말은 해주고 끝냅니다만, 알집이 다운되어 아예 먹통이 되는 건 특정 RAR 버전 파일을 지원 못하는 거라고 밖에 볼 수 없겠습니다..
특정 RAR 파일에서 '응답없음'. 작업표시줄/작업관리자(Ctrl-Alt-Del)로 강제종료
ZIP, RAR, LZH 파일은 유니코드 지원이 안되므로, 일본어 중 특정 단어가 들어있는 파일은 제대로 풀지 못합니다. 알집 실행시 어플로케일(Applocale)을 이용해서 알집을 일본어로 실행한 다음 압축을 풀 수도 있는데, Applocale에서 단축아이콘을 따로 만들어주기는 하지만, 알집 명령어들이 일본어로 깨져 나오니 좀 불편하죠.
일본어때문에 ? 표시되며 파일 열기 오류 발생
ZIPj를 이용하면 위 문제들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알집 응답없음이 되어버리던 RAR파일도 잘 풀렸고, 압축 해제 언어만 설정해주니 외국어로 된 파일도 그냥 잘 풀어주더군요.
파일도 작고 설치도 필요없어 부담 없습니다. 단점이라면 프로그램이 너무 간단한 만큼 사용하기 불편하게 느끼시는 분들도 계시리라는 것...
원본 언어 선택. 드래그&드롭 가능
[출처]http://hallang.tistory.com/51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꼼수 7가지 (0) | 2018.08.07 |
---|---|
바탕 화면에 시스템 종료, 재시작, 최대절전모드, 절전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기 (0) | 2009.08.30 |
컴퓨터 윈도우 XP 원하는 시간에 예약 종료시키기(shutdown) (0) | 2009.08.30 |
갑자기 한글 입력이 안될때(다른 언어 입력기(IME)가 여러개 설치된 경우) (0) | 2009.08.30 |
임시 작업 폴더(Temp)를 다른 곳으로 지정하기(윈도우 XP) (0) | 2009.08.30 |
컴퓨터 윈도우 XP 원하는 시간에 예약 종료시키기(shutdown)
시간을 정해놓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컴퓨터가 자동으로 꺼지게하려면, shutdown 명령어를 이용하면 됩니다.
시작 버튼 → 실행(R) → 실행 창 '열기' 입력란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shutdown -s -t 1800 이라고 입력하면, 30분(1800초) 후에 꺼집니다.
- 종료 명령 : shutdown -s -t [시간(초단위)]
- 취소 명령 : shutdown -a
shutdown 명령은 PC 전원 버튼을 살짝 눌렀을때 윈도우XP가 자동으로 종료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보입니다.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는 거의 '강제 종료'를 하는 수준인 것 같고요. 한 번 내린 명령은 따로 취소할 수는 없고, shutdown -a 명령(Abort)으로만 강제 종료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shutdown -a 명령으로만 취소 가능함
종료 시 '프로그램이 응답이 없습니다' 등의 오류가 발생한다면 제대로 종료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윈도우 종료 버튼을 눌렀을 때에도 간혹 '프로그램 응답 없음' 때문에 종료가 지체되는 경우가 있지요.
그 외 shutdown 상세 명령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명>shutdown /?
사용법: shutdown [-l | -s | -r | -a] [-f] [-m \\컴퓨터 이름] [-t xx] [-c "설명"] [-d up:xx:yy]
No args 이 메시지를 표시합니다.(-?와 동일)
-i GUI 인터페이스 표시합니다.(처음 옵션이어야 합니다.)로그오프합니다. (-m 옵션과 함께 사용될 수 없음)
-s 시스템을 종료합니다.
-r 시스템을 종료한 후 다시 시작합니다.
-a 시스템 종료를 중단합니다.
-m \\컴퓨터 이름 원격 컴퓨터를 종료/다시 시작/중단합니다.
-t xx 시스템 종료의 만료 시간을 xx초로 설정합니다.
-c "설명" 시스템 종료 설명을 지정합니다. (최대 127 문자)
-f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을 경고 없이 강제로 종료합니다.
-d [u][p]:xx:yy 종료에 대한 이유코드를 지정합니다.
u: 사용자 코드
p: 계획된 종료 코드
xx: 주 이유 코드 (256 보다 작은 양수)
yy: 부 이유 코드 (65536 보다 작은 양수)
[출처] http://hallang.tistory.com/237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꼼수 7가지 (0) | 2018.08.07 |
---|---|
바탕 화면에 시스템 종료, 재시작, 최대절전모드, 절전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기 (0) | 2009.08.30 |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파일명 때문에 안풀리는 압축파일을 풀어보자 (0) | 2009.08.30 |
갑자기 한글 입력이 안될때(다른 언어 입력기(IME)가 여러개 설치된 경우) (0) | 2009.08.30 |
임시 작업 폴더(Temp)를 다른 곳으로 지정하기(윈도우 XP) (0) | 2009.08.30 |
갑자기 한글 입력이 안될때(다른 언어 입력기(IME)가 여러개 설치된 경우)
- 조건 : IME(언어 입력기)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
- 시도해 볼 방법 : 왼쪽 Alt + Shift (왼쪽 알트(Alt)키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왼쪽 시프트(Shift) 키)를 눌러준 뒤, 입력이 되는지 확인해 봅시다. 2~3차례 반복 시도 해볼 것.
- 그 외 다양한 방법 : 글 아래에 ( ※ 한글 입력이 안될 때 해볼 방법들 ) 을 참고하세요.
한/영 키가 갑자기 먹히지 않아 한글 입력이 갑자기 되지 않는 경우를 종종 겪으셨을 겁니다.
임시 해결책으로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하던 경우에는 '주소표시줄'에서 글을 적은 다음에 복사, 붙여넣기로 원하는 문구를 적어넣거나, 아니면 창 전환을 해보라고 하는군요. '메모장(notepad)'를 열어서 메모장에서 한글 입력이 된다면, 거기서 필요한 글을 작성한 뒤, 마우스로 작성한 글을 긁어서(선택) Ctrl + C(복사)를 누르고, 아까 한글 입력이 안되는 해당 창으로 가서 붙여넣기(Ctrl + V)를 해주는 방법도 있고 합니다만,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면 불편하죠.
'제어판'의 '국가 및 언어' 설정에 언어 입력기가 여러개 있다면 해당 증상이 더 자주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피스를 설치한 뒤에 오피스 자체 언어입력기가 자동 설치되면서 해당 문제가 종종 더 자주 발생하기도 하고요. 일본어 이용을 위해 일본어 입력기를 설치하신 분도 종종 그런 증상을 겪으셨을 겁니다.
이 경우엔 아마도 입력 언어가 갑작스럽게 전환이 되어서 그런게 아닌가 싶으며, (왼쪽 Alt - Space) 키로 인한 언어 설정 전환때문에 생긴 문제가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한글 입력이 안될땐 좌측 Alt - Shift키를 누른 뒤 확인해보세요. 한번만에 안된다면 '한글 IME'로 전환이 되도록 2~3 차례 시도해보시는게 좋겠네요.
단, 입력언어간 전환 기능인 좌측 Alt+Shift (알트+쉬프트) 키는, 사용자 PC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제어판 > 국가 및 언어 > "언어" 탭 > "자세히" > 화면 하단의 "키 설정" 에서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 Alt + Shift 키는 입력 언어간 전환 기능입니다.
( 31jha님 블로그 참고 : http://31jha.com/811 )
우선 언어 입력기가 표시되도록 설정합니다.(제어판 > 국가 및 언어 > "언어" 탭 > "자세히" > "설정" 탭 > 하단의 "입력 도구 모음" > "바탕화면에 입력 도구 모음 표시"를 켜줍니다.) 그 다음엔, 언어입력기에서 '영어' 언어입력기를 추가하고, Adobe 프로그램 실행시 'En'이 표시가 될때 'Ko'로 설정을 바꿔주면 한글 입력이 된다고도 하네요. 31jha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http://31jha.com/811, 포토샵에서 한글 입력이 안될 때 해결법 )
※ 한글 입력이 안될 때 해볼 방법들
- 창 전환을 해본다.
- 인터넷 브라우저 주소창에 한글로 입력을 하여, 마우스로 선택한 후 복사(Ctrl+C), 붙여넣기(Ctrl+V)
- 메모장에 한글로 입력한 후, 마우스로 선택한 후 복사(Ctrl+C), 붙여넣기(Ctrl+V)
- 좌측 Alt + Shift 키를 눌러본 후 '한/영'키를 눌러가며 확인해본다. 좌측 Alt + Shift 키 시도도 2회 정도 해볼 것.
- 좌측 Alt + Shift 키 이 외에도, Ctrl + Shift 키를 눌러본다, Ctrl + Shift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본다, F4 및 F6 키를 눌러본다, Alt + Shift +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본다 는 등 다양한 의견이 있습니다. 아마 사용자 PC 별로 설치된 프로그램과 설정이 달라서 발생하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 한글 IME 언어 입력기 관련 msimtf.dll , msctf.dll 파일의 등록을 해제시켜본다.
regsvr32 /u msimtf.dll
regsvr32 /u msctf.dll
- 위 명령으로 해제한 후 다른 문제가 발생할때 재등록 하는 법
시작 버튼 > 실행 클릭
regsvr32 msimtf.dll
regsvr32 msctf.dll
- 시작 메뉴 > 설정 > 제어판 > 날짜 시간 언어 및 국가별 옵션 > 국가 및 언어 > 메뉴 아래의 "언어" 탭 클릭 > "자세히" 클릭 > 한국어 입력기를 제외한 다른 언어 입력기를 제거해본다.
[출처] http://hallang.tistory.com/259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꼼수 7가지 (0) | 2018.08.07 |
---|---|
바탕 화면에 시스템 종료, 재시작, 최대절전모드, 절전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기 (0) | 2009.08.30 |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파일명 때문에 안풀리는 압축파일을 풀어보자 (0) | 2009.08.30 |
컴퓨터 윈도우 XP 원하는 시간에 예약 종료시키기(shutdown) (0) | 2009.08.30 |
임시 작업 폴더(Temp)를 다른 곳으로 지정하기(윈도우 XP) (0) | 2009.08.30 |
임시 작업 폴더(Temp)를 다른 곳으로 지정하기(윈도우 XP)
지난 글에서 내 문서, 임시 인터넷 파일, 가상메모리를 다른 하드 디스크로 지정하는 방법을 소개했었는데, 이번엔 임시 작업 폴더를 하드 디스크 다른 곳에 지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 내 문서, 임시 인터넷 파일, 가상메모리를 다른 위치로 지정하기)
임시 작업 폴더(Temp)는 보통 이런저런 프로그램 설치시에 중간 과정 파일의 압축이 풀리거나, 기타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파일들이 생성되는 위치입니다. 원래 기본 임시 디렉토리(Temp)는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Local Settings\Temp 입니다. 이 위치를 다른 곳으로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일단은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원하는 위치에 임시 폴더 Temp 를 하나 새로 만듭니다.
예를 들면)
내 컴퓨터 → C:\ → "파일" 메뉴 → 새로만들기(W) → 폴더 → 폴더 명을 "Temp"로 지정
바탕화면에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우클릭합니다.
바탕화면에 '내 컴퓨터'가 없다면, 시작 메뉴에서 '내 컴퓨터'를 찾아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속성'을 선택합니다.
'고급' 탭을 선택해, 아래에 있는 '환경변수'를 누릅니다.
환경변수에서 TEMP와 TMP가 임시 폴더의 위치에 해당합니다. 위에서 예를 든 것 처럼 C:\Temp를 임시 폴더로 지정하려면, TEMP와 TMP 환경 변수 값을 C:\Temp로 고쳐줍니다.
이게 보통 기본값입니다. 편집을 눌러서, C:\Temp 로 지정해주고, 하드디스크 C:\ 에는 Temp 폴더를 직접 만들면 됩니다.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한 환경변수 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에 대한 기본 임시 폴더 경로명도 변경가능합니다. '시스템 변수'라고 된 곳을 스크롤 바를 아래로 내려보면 역시 TEMP와 TMP값이 있습니다. 원하는데로 변경해주세요.(편집(I)을 누르거나, 더블 클릭 하면 됨)
[출처]http://hallang.tistory.com/263
'Computer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꼼수 7가지 (0) | 2018.08.07 |
---|---|
바탕 화면에 시스템 종료, 재시작, 최대절전모드, 절전 바로가기 아이콘 만들기 (0) | 2009.08.30 |
일본어 중국어 등 외국어 파일명 때문에 안풀리는 압축파일을 풀어보자 (0) | 2009.08.30 |
컴퓨터 윈도우 XP 원하는 시간에 예약 종료시키기(shutdown) (0) | 2009.08.30 |
갑자기 한글 입력이 안될때(다른 언어 입력기(IME)가 여러개 설치된 경우) (0) | 2009.08.30 |